클라우드 게임 스트리밍 기술 해부
1. 인코딩/디코딩 지연 구조 클라우드 게임 스트리밍은 게임 연산을 서버에서 수행하고 화면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전송 하는 구조입니다. 핵심 요소 중 하나가 인코딩(Encoding)과 디코딩(Decoding) 과정입니다. 서버 측 인코딩 GPU에서 렌더링된 프레임을 H.264, H.265, AV1 등으로 압축 압축 과정에서 압축 효율과 지연(Latency) 사이 균형 필요 인코딩 지연이 길어지면 입력 반응 속도가 느려짐 클라이언트 측 디코딩 스트리밍 받은 압축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면 출력 디바이스 성능에 따라 디코딩 지연 발생 가능 모바일 환경이나 저사양 디바이스에서는 디코딩 최적화 필수 결국, 클라우드 게임에서의 몰입감은 인코딩과 디코딩 지연 최소화 여부에 크게 좌우됩니다. 2. Stadia 실패 원인 구글 Stadia는 클라우드 게임 스트리밍의 상용화 초기 사례였으나, 실패 요인을 분석 하면 기술적·사업적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술적 문제 네트워크 지연(Latency) 최적화 부족 불안정한 스트리밍 품질로 인한 입력 지연 시장/사업적 문제 게임 라인업 부족, 사용자 확보 실패 기존 콘솔/PC 환경 대비 차별화 부족 Stadia 사례는 클라우드 게임 스트리밍 성공을 위해 기술적 안정성과 생태계 구축이 동시에 필요함 을 보여줍니다. 3. NVIDIA GeForce Now 사례 NVIDIA GeForce Now는 클라우드 게임 스트리밍 성공 사례로 평가됩니다. 하드웨어 인프라 GPU 클러스터 기반, 최신 그래픽 카드 활용 다중 세션 동시 처리 및 확장성 확보 네트워크 최적화 Adaptive Bitrate Streaming 적용: 네트워크 상태에 맞춰 해상도와 프레임 동적 조정 Edge Server와 CDN 활용으로 지연 최소화 플랫폼 호환성 PC, Mac, 모바일, 스마트 T...